안녕하세요!
제이드 입니다^^
💰 “생활비 지원받고 있는데, 또 연금도 가능하다고요?”
💬 “기초생활수급자는 기초연금 못 받는다던데요?”
✔ 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하십니다:
"나는 기초생활수급자니까, 기초연금은 안 되는 거 아닌가요?"
"받더라도 다 깎인다던데… 의미 없잖아요!"
🙅♀️ 이건 절반은 맞고, 절반은 틀린 정보예요.
기초생활수급자도 기초연금을 ‘받을 수 있고’, 실제로 받고 있는 분들도 많습니다!
📌 핵심 정리 먼저!
생계급여 수급자 | ✅ 받을 수 있음 | 단, 생계급여에서 감액 조정됨 |
의료급여 수급자 | ✅ 받을 수 있음 | 생계급여와 유사하게 감액 가능 |
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 | ✅ 받을 수 있음 | 감액 없음 (전액 수령 가능) |
🔎 즉, 기초연금은 지급되지만,
생계·의료급여를 받고 있다면 그만큼 차감 조정될 수 있어요.
🤔 왜 깎이는 걸까요?
✔ 기초연금은 ‘소득으로 간주’되기 때문입니다.
복지 기준에 따라 기초연금을 받으면, 소득이 생겼다고 보고 생계급여나 의료급여가 줄어듭니다.
하지만!
❗ 완전히 못 받는 건 아니고, 제도 개선으로 일부라도 수령 가능합니다.
💡 변화 포인트: 최근 제도 개선
2021년부터 정부는
📌 기초연금을 받더라도, 생계급여가 지나치게 줄지 않도록 조정하고 있습니다.
🔔 예전처럼 ‘받아봤자 다 깎이니까 의미 없다’는 인식은 이제 옛날 이야기!
📊 실제 예시로 이해하기
🧓 김OO 어르신
- 만 67세, 기초연금 신청
- 현재 생계급여 월 50만 원 수령 중
- 기초연금 월 32만 원 승인
👉 이후 생계급여에서 일부 조정되어
- 생계급여는 25만 원
- 기초연금은 32만 원 수령
→ 총 수령액: 약 57만 원
✔ 과거보다 총 소득이 늘어난 셈!
✅ 수급 전략 Tip
1️⃣ 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라면?
→ 기초연금 100% 받을 수 있습니다. 무조건 신청하세요!
2️⃣ 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라면?
→ 전체 금액은 비슷해도, 일정 금액이라도 더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✔ 지역마다 다를 수 있으니 꼭 주민센터에 문의하세요!
3️⃣ 부모님이 수급자인 경우
→ 자녀가 대신 기초연금 신청 가능
(대리 신청서 및 가족관계서류 지참)
📝 신청방법
-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
- 혹은 복지로 사이트에서 온라인 신청
- 신분증, 통장, 수급자 증명서류 지참
📞 문의: 보건복지상담센터 ☎ 129
🧭 요약정리
생계급여 + 기초연금 | 가능하지만 생계급여 일부 감액 |
주거·교육급여 + 기초연금 | 전액 수령 가능 |
신청 방법 |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|
대리신청 | 가족도 가능 |
💬 "받을 수 있는데 안 받는 복지, 제일 아깝습니다!"
✔ 기초생활수급자라도 기초연금 신청은 꼭 해야 하는 이유!
✔ 정부도 계속 제도를 개선 중이라, 내년에 또 유리해질 수 있습니다.
👉 지금 신청해서, 소득+연금+복지 혜택을 모두 챙기세요!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060세대를 위한 전기요금 할인 혜택 총정리💡 (5) | 2025.04.09 |
---|---|
5060대 부모를 둔 자녀가 알아야 할 노후 서류& 연금🧾 (14) | 2025.04.08 |
5060세대가 알아야 하는 기초연금 국민연금 중복 수령 (7) | 2025.04.08 |
5060세대를 위한 기초연금 수급 조건 & 신청방법 (4) | 2025.04.08 |
5060세대를 위한 국민연금 수령액 늘리는 3가지 방법 (8) | 2025.04.06 |